국내(중부지방)여행

창덕궁

정병산 2010. 8. 4. 08:52

경기도 일원 나들이 2일 차

오늘은 서울을 중심으로 나들이 나서기로, 서울 종묘를 뒤로하고 창덕궁을 찾았다, 창덕궁은 조선시대 궁궐 가운데 하나로 태종 때 세워졌다. 당시 종묘·사직과 더불어 정궁인 경복궁이 있었으므로, 이 궁은 하나의 별궁으로 만들었다.

 

 

 

임금들이 경복궁에서 주로 정치를 하고 백성을 돌보았기 때문에, 처음부터 크게 이용되지 않은 듯하다. 임진왜란 이후 경복궁·창경궁과 함께 불에 타버린 뒤 제일 먼저 지어졌고, 그 뒤로 조선왕조의 가장 중심이 되는 정궁 역할을 하게 되었다. 화재를 입는 경우도 많았지만 제때에 다시 지어지면서 대체로 원래의 궁궐 규모를 잃지않고 유지되었다.

 

임금과 신하들이 정사를 돌보던 외전과 왕과 왕비의 생활공간인 내전, 그리고 휴식공간인 후원으로 나누어진다. 내전의 뒤쪽으로 펼쳐지는 후원은 울창한 숲과 연못, 크고 작은 정자들이 마련되어 자연경관을 살린 점이 뛰어나다. 또한 우리나라 옛 선현들이 정원을 조성한 방법 등을 잘 보여주고 있어 역사적으로나 건축사적으로 귀중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160여 종의 나무들이 울창하게 숲을 이루며 300년이 넘는 오래된 나무들도 있다.

 

1917년에는 대조전을 비롯한 침전에 불이 나서 희정당 등 19동의 건물이 다 탔는데, 1920년에 일본은 경복궁의 교태전을 헐어다가 대조전을 다시 짓고, 강녕전을 헐어서 희정당을 다시 짓는 등 경복궁을 헐어 창덕궁의 건물들을 다시 지었다. 지금까지 남아있는 건물 중 궁궐 안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은 정문인 돈화문으로 광해군 때 지은 것이다.펌글

 

정궁인 경복궁이 질서정연한 대칭구도를 보이는데, 비해 창덕궁은 지형조건에 맞추어 자유로운 구성을 보여주는 특징이 있다. 창덕궁과 후원은 자연의 순리를 존중하여 자연과의 조화를 기본으로 하는 한국문화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는 장소로,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어 있다. (출처: 문화재청)

 

 

 

 

 

 

 

 

 

 

 

 

 

 

 

 

 

 

 

 

창덕궁은 이것으로 마지막으로 다음은 이명박이 청계천을 대대적으로 정비에 나서 브로도자처럼 밀어부쳐 깨끗해진 청계천으로 가다

 

'국내(중부지방)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주산성 탐방  (0) 2010.08.06
임진각 탐방  (0) 2010.08.06
청계천  (0) 2010.08.05
서울 종묘  (0) 2010.08.04
경기도 일원 나들이  (0) 2010.08.03